야생화 자료 (2008)

미국쑥부쟁이

소백산이좋아요 2008. 8. 26. 17:35

 

 

 

 

 

 

 < 미국쑥부쟁이 >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Aster pilosus 
분류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 
원산지  북아메리카 
분포지역  한국 중부와 남부 지방 
크기  높이 40∼120cm 
중도국화·털쑥부쟁이라고도 한다. 높이 40∼120㎝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짧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큰 포기를 이룬다. 줄기의 아랫부분은 
목질화해서 거칠거칠하고 털이 많이 나며, 줄기는 활처럼 휘어진다. 
가지는 줄기와 직립으로 붙고 끝은 종종 처진다. 
잎은 길이 3∼10㎝, 나비 3∼8㎝로 줄 모양 또는 줄 모양 피침형(바소꼴)인데, 
어긋나고 종종 낫 모양으로 휜다. 뿌리쪽에서 나는 잎은 톱니가 있고 줄기에 
나는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의 양면에는 털이 거의 없으나 가장자리에 
퍼진 털이 있다. 꽃은 대개 9∼10월에 흰색의 두상꽃차례로 피는데, 가지와 
줄기 끝에 많이 달린다. 
산지나 들판에 나 있는 길가 등에서 자란다. 흰 꽃이 피는 것을 '백공작', 푸른 
꽃이 피는 것을 '청공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1970년대 말 강원도 춘천시 중도 지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지금은 한국 중부 지방뿐 아니라 남부 지방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