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자료 (2008)

땅귀개와 이삭귀개

소백산이좋아요 2008. 9. 17. 20:14

 

 

 < 땅귀개 >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통화식물목 통발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Utricularia bifida 
분류  통발과 
분포지역  한국(제주 ·전남 ·전북 ·경북 ·경기) 
서식장소  습지 
크기  높이 10cm, 길이 6∼8mm 
땅귀이개, 이알초라고도 한다.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10cm 내외이다. 
실같이 가는 흰색의 땅속줄기가 땅 속을 기면서 벋고 벌레잡이주머니가 군데군데 달린다. 
잎은 줄 모양이고 땅속줄기의 군데군데에서 땅 위로 나오며 길이 6∼8mm로 녹색이고 
밑부분에 흔히 1∼2개의 벌레잡이주머니가 있다. 
꽃줄기는 길이 7∼15cm로서 몇 개의 비늘잎이 어긋나며 곧게 서 있다. 
비늘잎은 달걀 모양 또는 좁은 달걀 모양이고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다.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2∼7개가 달린다. 

 

 

 

 

 

< 이삭귀개 >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통발과의 여러해살이 식충식물.

학명  Utricularia racemosa
분류  통발과
분포지역  한국·일본
자생지  양지쪽 습지
크기  높이 10∼30mm

양지쪽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0∼30mm이다.
실 같은 땅속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주걱 같은 잎이 군데군데에서 무더기로 나오고,
뿌리에는 벌레잡이주머니가 달린다. 잎은 뿌리줄기의 여러 곳에서 나오고 어긋나며 비늘 모양이다.
길이 2∼3.5cm로서 드문드문 달린다. 줄기에 달린 잎은 원줄기에 붙으며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고
길이 2∼3.5cm이다.

꽃은 8∼9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꽃줄기에 4∼10개가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줄기에 달린 잎처럼 생기며 작은포는 줄 모양이고 작은꽃자루와 같은 길이이다.
꽃받침은 넓은 타원형이며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빽빽이 난다.
꽃잎에는 아랫입술꽃잎 길이의 2배 정도 되는 꿀주머니가 있다. 수술은 2개이다.
열매는 둥근 삭과(殼果)로서 꽃받침에 싸이며 11월에 익는다. 번식은 종자로 하며 관상용으로 쓴다.
한국·일본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