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백산이좋아요 2012. 9. 27. 17:39

 

 

 

 

 

 

 

 

 

<여뀌>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Persicaria hydropiper
분류  마디풀과
서식장소  습지 또는 냇가
크기  높이 40∼80cm

 


수료·택료·천료라고도 한다. 습지 또는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 40∼80cm이고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로 자루가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에 잔 선점이 많다. 턱잎은 잎집같이 생기고 막질(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6∼9월에 피고 밑으로 처지는 수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4∼5조각이며 연한 녹색이지만, 끝부분에 붉은빛이 돌고 선점이 있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대는 2개이다. 씨방은 타원형이다.
열매는 수과로 검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잎은 매운맛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싹이 튼 여뀌를 생선요리에 쓴다.
여뀌는 지혈작용이 있어서 자궁출혈·치질출혈 및 그 밖의 내출혈에 사용된다. 잎과 줄기는 항균작용이 뛰어나며, 혈압을 내려주고 소장과 자궁의 긴장도를 강화시킨다.
민간에서는 이것을 짓찧어 물고기를 잡을 때에 이용하기도 한다.  잎이 가늘고 수과의 길이가 짧은 것을 가는여뀌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