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체꽃
<솔체꽃>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산토끼꽃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Scabiosa mansenensis
분류 산토끼꽃과
분포지역 한국·중국
자생지 심산지역
크기 높이 50∼90cm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추 서서 높이 50∼90cm까지 자라고 가지는 마주나기로 갈라지며 퍼진 털과 꼬부라진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바소꼴로 깊게 패어진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길며 꽃이 필 때 사라진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마주달리고 긴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깊게 패어진 큰 톱니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깃처럼 깊게 갈라진다.
꽃은 8월에 피고 하늘색이며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꽃차례로 달린다.
바깥 총포조각은 줄 모양 바소꼴로 양면에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꽃이 필 때는 길이 5mm 정도이다. 가장자리의 꽃은 5개로 갈라지는데, 바깥갈래조각이 가장
크고, 중앙에 달린 꽃은 통상화(筒狀花)이며 4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로서 줄 모양이고 10월에 익는다.
잎에 털이 없는 것을 민둥체꽃, 잎이 깃처럼 갈라진 것을 체꽃, 꽃이 필 때까지 뿌리에서 나온 잎이 남아 있고 꽃받침의 자침이 다소 긴 것을 구름체꽃이라 한다.
체꽃은 잎이 갈라져 있지 않은 것은 채꽃이고. 민둥체꽃은 잎에 털이 없는 것은.
구름체꽃은 꽃받침에 나 있는 가시 같은 침이 긴 것 이라고 한다.
(솔체꽃의 전설)
옛날 어느 마을에 양치는 소년이 살고 있었다 .
어느 해안가 마을에 전염병이 돌아 온 마을 사람들이 죽어 갔고 , 소년은 약초를 구하기 위해 산에 올라갔다가 쓰러지고
말았다 . 눈을 떠 보니 예쁜 요정이 자기를 바라보고 있었다. 요정이 소년에게 약초를 먹여 목숨을 구해 준 것이었다 .
소년을 사모하게 된 요정은 약초를 모아 소년이 온 마을 사람들을 다 구할 수 있도록 도와 주었다.
그런데 얼마 후 소년은 약초 덕분에 목숨을 구한 마을의 예쁜 아가씨와 결혼을 하게 되었고 , 요정은 너무나 깊은 상처를
받고 슬퍼하다가 그만 죽고 말았다.
이를 불쌍하 여긴 신은 요정을 예쁜 꽃으로 피어나게 했는데 그 꽃이 솔체꽃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 꽃의 꽃말은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 또는 모든 것을 잃었다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