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역취 <미역취>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한국 ·일본 서식장소 산과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 크기 높이 30∼85cm 돼지나물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 야생화 자료(2016) 2016.10.16
좀바위솔 <좀바위솔>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Orostachys chongsunensis Y.N.Lee 분류 돌나물과 원산지 한국, 일본 분포지역 전국 각 지역 자생지 산지의 바위 겉 크기 높이 약 10~20cm 산지의 바위면에 난다. 다년초로 높이 8~10㎝이고 전체가 엷은 홍자색이며 분백색을 띤다. 잎.. 야생화 자료(2016) 2016.10.16
정선바위솔 <정선바위솔>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Orostachys chongsunensis Y.N.Lee 분류 돌나물과 원산지 한국, 일본 분포지역 강원도의 정선과 평창지역 자생지 산지의 바위 겉 크기 높이 약 10~20cm 잎은 길이 1.5~3cm, 나비 1.5~2cm 정도의 둥근모양이다. 끝은 뾰족하고 연자주색 .. 야생화 자료(2016) 2016.10.16
가는잎향유 <가는잎향유>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Elsholtzia angustifolia 분류 꿀풀과 분포지역 한국 속리산과 조령 서식장소 바위 틈 크기 높이 50cm 바위 틈에서 자라며 줄기는 사각형이고 높이는 50cm 정도이며 굽은 털이 줄로 돋아 있다. 어릴 때는 선점이 있다. 잎은 마주.. 야생화 자료(2016) 2016.10.16
자주쓴풀 <자주쓴풀> 학명 Swertia pseudochinensis H. Hara 분류: 용담과 크기 15~30cm 개화시기 9월~10월, 고산지 및 지리산 개화기(10~11월 초) 분포지 한국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2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양지 혹은 반그늘의 풀숲에서 자란다. 키는 15~30cm이고, 잎은 길이 2~4cm, 폭 0.3~0.8cm.. 야생화 자료(2016) 2016.10.16
물매화 <물매화> 분류 범의귀과 분포지역 북반구의 온대와 아한대 서식장소 산지의 볕이 잘 드는 습지 크기 높이 10∼40cm 풀매화·물매화풀·매화초라고도 한다. 산지의 볕이 잘 드는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3∼4개가 뭉쳐나고 곧게 서며 높이가 10∼40cm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 야생화 자료(2016) 2016.10.06
큰잎쓴풀 <큰잎쓴풀> 학명 Swertia diluta var. tosaensis 분류 용담과 분포지역 한국(충남·충북·황해도)·일본·중국 서식장소 들의 습지 크기 높이 5∼35cm 높이는 10~30㎝ 정도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가 여러개로 갈라진다. 잎은 대생하고 좁은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며 밑은 줄기를.. 야생화 자료(2016) 2016.10.06
해국 <해국> 학명 Aster spathulifolius 분류 국화과 자생지 바닷가 크기 높이 30∼60cm 장소 동해 추암 해변국이라고도 하며 바닷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다소 목질화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비스듬히 자라서 높이 30∼60cm로 된다. 잎은 어긋나지만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으로 밑에서는 .. 야생화 자료(2016) 2016.10.05
둥근잎꿩의비름 <둥근잎꿩의비름>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계곡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몇 개의 굵은 뿌리가 있고 밑으로 처지며 붉은빛이 돈다. 높이는 15∼25cm이다. 잎은 마주나며 달걀 모양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잎자루는 없고 길이와 나비가 각각 2.5∼4.5cm이며 가장자리에 .. 야생화 자료(2016) 2016.10.04
과남풀 <과남풀> 학명 Gentiana triflora 분류 용담과 분포지역 한국(전북 ·경남 ·경기 ·함남 ·함북) 서식장소 산지의 습지 크기 높이 30∼80cm 큰용담과 칼잎용담을 과남풀이라고 한다 산지의 습지에서 자라며 높이 30∼8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나지 않으며 분처럼 흰빛이 돈다. 뿌리줄.. 야생화 자료(2016) 2016.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