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괭이눈 <선괭이눈> 범의귓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옆으로 벋는 줄기는 뿌리를 내린 다음 곧게 서며 높이가 10cm에 달하고 털이 없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줄기에 달린 잎은 마주나며 달걀 모양·타원 모양·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끝이 둔하.. 야생화자료 (2020) 2020.03.25
올괴불나무 <올괴불나무>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관목. 학명 Lonicera praeflorens 분류 인동과 분포지역 한국·중국(만주)·우수리강 자생지 산지의 숲속 크기 높이 약 1m 올아귀꽃 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어린 가지는 갈색 바탕에 검은빛 반점이 있.. 야생화자료 (2020) 2020.03.25
털괭이눈 <털괭이눈> 학명 Chrysosplenium pilosum Maxim. 범의귓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cm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둥근 모양인데 톱니가 있다. 5월에 연한 노란색을 띤 녹색 꽃이 줄기 끝에 모여 피고 열매는 삭과로 10월에 익는다.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한국이고 한라산, 지리산 및 함경북도.. 야생화자료 (2020) 2020.03.25
동강할미꽃 <동강할미꽃>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영월과 정선 지역 동강 일대의 바위절벽에서 자라는 한국특산식물이다. 꽃이 필 때 하늘을 보고 피면서 갖가지 다양한 색깔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야생화자료 (2020) 2020.03.06
쇠채아재비 <쇠채아재비>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밭이나 길가에 자라는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속이 비어 있으며, 높이 30-10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20-30cm, 폭 10cm이다. 잎 밑부분은 줄기를 반쯤 둘러싸며, 끝은 뾰.. 야생화 자료(2017) 2017.06.08
산작약 2 <산작약>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 ·적색 등 여러 품종이 있으며 원줄기 끝에 큰 꽃이 1개씩 달린다. 유독식물로서 화초 또는 약용으로 재배한다. 뿌리를 진통·진경·부인병에 사용한다. 뿌리를 자르면 붉은빛이 돌기 때문에 적작약이라고도 한다.. 야생화 자료(2017) 2017.06.06
은방울꽃 <은방울꽃> 학명 Convallaria keiskei 분류 백합과 분포지역 한국·중국·동시베리아·일본 자생지 산지 크기 높이 25∼35cm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25∼35cm이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새순이 나오고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밑부분에서는 칼집 모양의 잎이 .. 야생화 자료(2017) 2017.06.05
두메애기풀 <두메애기풀> 학명 Polygala sibirica L. 분류 원지과 개화기 7월~8월 꽃색 자주색 크기 높이 30cm 높은 산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빽빽이 나고 뿌리는 여위며 길고 딱딱하다. 줄기는 굳고 뿌리에서 뭉쳐나서 위로 향하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는 20c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극히 .. 야생화 자료(2017) 2017.06.05
산작약 산작약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산지의 숲속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꽃은 5∼6월에 피고 높이는 50∼80cm이다. 잎 뒷면은 흰빛이 돌며 백작약과 달리 털이 있다. 백색 ·적색 등 여러 품종이 있으며 원줄기 끝에 큰 꽃이 1개씩 달린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로서 멸종위기.. 야생화 자료(2017) 2017.05.30
참작약 참작약 산지에 자라거나 민가에서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굵고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단면은 붉은색이다. 줄기는 높이 40-90cm이고 곧추서며 가지를 치고 털은 없다. 잎은 어긋나며, 세 갈래로 2번 갈라진 겹잎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 야생화 자료(2017) 2017.05.30